300x250

(사진 : 낚시춘추)




물 빠진 상황에서도 중류 뗏장수초지대가 1m 수심은 되는 경우에는 물색만 보장된다면 1m 수심의 독립 뗏장수초가 더 유리한 포인트가 될 수 있다. 그 뗏장수초에는 붕어의 먹이사슬 하층 생물들이 많이 붙어있게 되고, 이러한 먹이구역에 붕어가 사냥을 나올 것이기 때문.


그리고 무넘기 쪽에도 뗏장수초 등 포인트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면 50% 이상 물이 빠진 상황에서 아주 유리한 포인트가 됩니다. 이런 갈수 상태의 경우 공통적으로는 현재진행형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면 무넘기 쪽 포인트가 더 유리하고, 배수가 멈추고 며칠째 안정된 상황이라면 중류 쪽 독립뗏장수초가 더 유리한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사진 :  낚시춘추)

저수지 수위에 따라서 포인트가 형성되는 것은 대략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습니다. 그림에서는 만수위일 때부터 극도의 갈수 상태일 때까지를 분석하였는데, 이는 수위변동에 따른 붕어들의 활동영역 공간을 고려한 것으로 붕어의 생태활동 눈높이에 맞춘 것입니다.
첫째로 만수위 상태라면 저수지 전체의 중상류 지점으로부터 최상류까지의 구역이 주요 포인트가 됩니다. 이때 붕어들은 주로 상류 쪽을 무대로 하여 활동을 하기 때문으로 연중 대부분의 기간에 걸쳐서 포인트가 되는 것이지요. 만약 수초 발달 등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면 최상류 끝 지점이 가장 유리한 포인트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70% 정도의 수위를 유지하고 있다면 제방과 상류와의 중간지점 즉 중류 구역이 주요 포인트가 됩니다. 배수에 따라 긴장한 붕어들이 활동하는 주요 공간이 중류 일대가 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연안 일대에 독립수초군이 형성되어 있다면 그곳이 가장 유리한 포인트가 됩니다.
만약 50% 정도의 수위를 유지하고 있다면 제방과 가까운 하류 쪽이 주요 포인트가 됩니다. 이 정도가 되면 상류 쪽은 다 드러나게 되고 중류 쪽은 바닥이 보이는 상태가 되어 붕어들이 제방 가까이 운집하여 활동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에 가장 유리한 포인트는 수중에 직벽의 턱이 형성된 곳이고, 만약 직벽이 아닌 완만한 경사 지대이면 긴 대로 공략해야할 포인트입니다.
다만 수위가 극도로 줄어서 물이 30% 수준만 남아있는 형상이라면 제방 가운데를 중심으로 포인트가 형성됩니다. 수위가 이 정도일 때 붕어들은 땅속을 파고들어 생명을 부지하려는 본능적이 행동을 하는데, 이때 제방 앞에 남아있는 물웅덩이에서는 마지막 먹이활동을 활발하게 합니다. 따라서 제방 가운데 포인트에서 아주 호황을 기대할 수도 있는 상황이 되지요. 이런 경우에는 가급적 긴 대를 이용한 원거리 공략이 유리합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사진 :  산 그리고 야생화)



부엽수초(浮葉水草)란 줄기는 물속에 있고, 그 잎이 수면에 떠 있는 수초를 말합니다. 이러한 부엽수초는 마름과 수련, 어리연 등이 대표적. 부엽수초는 통상 봄에 자라 올라서 여름 동안 잎이 수면에서 번성하다가 가을~겨울에는 잎이 삭아서 소멸하는 특징이 있는데 부엽수초 지대는 늦봄부터 초가을까지는 좋은 포인트를 형성하나 동절기에는 좋은 포인트 역할을 하지 못하지요. 그러나 마름의 경우는 동절기 동안에도 물 바닥에서 새순이 움터 자라 오르고 있으므로 마름 새순이 바늘에 걸려 나오는 지역은 얼음 밑에서도 붕어가 접근하고 머무르는 곳으로 포인트 역할을 하기도. 특히 부엽수초는 국부적으로 발달하기보다는 전역에 발달하는 경우가 많아서 특징적인 연안 포인트가 잘 형성되지 않으나 이런 곳은 연안의 공간을 찾거나 정수수초 일부가 혼재한 경우, 그 혼재한 지역의 틈새를 포인트로 하면 특급 포인트가 됩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지렁이 미끼는 싱싱한 것일수록 좋은데. 붕어는 지렁이가 꿈틀거리는 움직임의 파장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을 하므로 미끼로 쓰는 지렁이는 싱싱함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무더운 여름철에는 지렁이를 시원하게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낚시점에서 냉장고에 지렁이를 보관하는 것도 그 이유.


여름철 지렁이통을 선선한 곳에 보관하지 않고 햇볕에 노출된 상태로 두면 지렁이는 가늘게 늘어져 버리거나 심하면 아예 녹아버리기도 힌다고.

길게 늘어져 버려 움직임이 없는 지렁이를 미끼로 쓴다면 붕어의 외면을 받게 되는데 혹 입질을 하더라도 잔챙이가 지렁이 끝을 물고 뜯어 먹으려는 입질을 주로 하게 되므로 찌가 깔짝거리거나 들락날락 춤추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큰 붕어가 단숨에 흡입하는 공격적인 입질을 기대하기란 어렵다.

▶지렁이통, 여름에는 시원한 그늘에 두는 것 잊지 말아야

여름에는 지렁이통을 시원한 그늘에 두어야 하는데 혹 지렁이 통을 햇볕에 노출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 그래서 의자 밑이나 파라솔의 그림자가 지는 쪽에 지렁이통을 두고 낚시를 해야 합니다. 한여름에 지렁이통을 햇볕에 노출되게 놓아두면 지렁이가 거품을 내면서 서로 뭉치다가 가늘게 늘어져서 못쓰게 되어 버리거나 노출시간이 오래 경과하면 녹아버리게 되니 지렁이통은 항상 시원한 그늘에 두고 관리를 해야 합니다. 정히 마땅한 그늘이 없으면 수건을 덮어 의자 아래에 놓아두고 사용해야 한다.
여름철에는 비가 오는 날은 지렁이는 비를 맞지 않게 해야 한다. 지렁이통이 비에 젖게 되면 지렁이가 미끈미끈해지면서 아주 가늘어져 버리며 이렇게 되면 미끼 효과가 떨어진다.

그리고 밤에는 꼭 지렁이통 뚜껑을 닫아야 하는데 지렁이는 어두운 곳에서 활동하기를 좋아하기 뗴문. 낮에는 뚜껑을 열어두어도 통에서 안 나오고 바닥 쪽에 뭉쳐있게 되지만 밤이 되면 온통 다 기어 나오므로 밤에는 꼭 지렁이통 뚜껑을 잘 닫아두어야 합니다.

지렁이를 쓰고 남았을 때 그 지렁이 보관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작은 항아리에 부식토를 넣고 지렁이를 넣어 관리하면서 먹이로 사과껍질이나 과일조각 그리고 배춧잎 등 채소를 약간 넣어주면 지렁이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으며 만약 개인이 쓰고 남은 지렁이를 집에 가져왔다면 사과껍질 등을 약간만 넣어서 그늘진 곳에 보관하면 싱싱한 상태로 다음에 또 사용할 수가 있다고.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신의한수 밴드 운영자 신혁진씨는 배수기가 되면 대다수 낚시인들이 계곡지를 찾는데 평지지를 더 선호한다고. 평지지라도 낚시인들이 몰리던 유명 낚시터는 이맘때는 한가할 뿐 아니라 평소 수심이 깊어 공략이 어렵던 제방권을 노릴 수 있기 때문. 보통 낚시인들이 갈수기라고 부를 정도로 수위가 낮아진 상황에서는 제방에서 석축의 끝 지점을 노리기 좋운데 습성상 석축의 끝과 바닥 사이 경계를 어슬렁거리기를 좋아하는데, 석축 사이에 숨어 사는 각종 먹잇감들을 쉽게 잡아먹을 수 있기 때문. 신혁진씨의 경우 제방권을 노릴 때 가장 좋아하는 포인트는 코너로 제방의 코너는 붕어가 반드시 들렀다 가는 코스여서 그만큼 입질 받을 확률이 높다고. 다만 코너라 해도 수심이 너무 깊은 곳은 좋지 않으며 2~3m로 유지되는 정도가 가장 낚시가 잘 되는데 코너 외에 또 노려볼 곳은 무넘기로 수심이 완만하게 깊어지기 때문에 붕어들이 좋아하는 놀이터 역할을 한다고. 제방권은 중상류 연안을 노릴 때보다 입질이 약간 늦게 붙기 때문에 야심한 시간에도 끈질기게 낚시해 볼 필요가 있다고.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FTV 외바늘 진행자 박남수씨에 따르면 갈수기 때 계곡지를 찾을 때는 규모가 큰 저수지를 찾는 게 좋은데 최소 3만평 이상이며 깊은 협곡일수록 붕어를 만날 확률이 높다고. 골이 여러 개 있다면 그중에서도 가장 깊은 골을 찾는 것이 유리한데 평소 깊은 수심의 수압에 익숙해져 있던 붕어들은 깊은 물골에서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그러나 노리는 포인트는 달라야 하는데 무작정 깊은 곳에 찌를 세우기보다는 깊은 골과 가까운 수중턱을 노리는 것이라고. 채비를 던져본 후 가장 깊은 곳에서 빗겨난 약간 솟은 자리가 최고의 명당으로, 붕어들은 그런 곳에서 왕성한 먹이활동을 한다고.
대체로 터 센 계곡지는 10년 정도에 한 번씩 물을 뺐을 때 호황을 보일 때가 많다. 갈수기 전에 그런 곳을 기억해두었다가 찾는 것도 도움이 되며 옛날 집터자리 등도 계곡지 붕어들이 자주 회유하는 코스라고.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비바붕어 운영자 박현철씨에 의하면 보트낚시도 배수기 때는 계곡지가 최고의 선택으로 오히려 배수기의 계곡지는 평소 공략할 수 없던 깊은 수심의 골자리 등을 노릴 수 있어 호황을 맛볼 수 있는 최고의 찬스로 박현철씨가 주목하는 낚시터는 평소에는 터가 세 잘 찾지 않던 대형 계곡지. 상류로 가도 수심이 5~6m나 되니 찌 세우기 어려웠던 곳(이렇게 수심이 깊으면 찌를 세워도 입질이 잘 오지 않는다)들을 평소 눈여겨 두었다가 공략하는 것이라고.

가장 중요한 포인트 선택 요령은 수면 위로 드러나 수몰나무나 능선 같은 것을 찾는 것으로.그런 곳은 붕어의 은신처가 되며 주변 수심보다 약간 얕아서 말풀도 제법 잘 자라 있고 보통 2~3m 수심을 보인다면 최적의 여건이라고.

채비는 평소보다 예민하게 갖추는 게 좋은데 바닥채비라면 분할봉돌채비를 추천하며 분할하지 않는 원봉돌채비라면 목줄만이라도 다소 길게 쓰는 게 좋다. 목줄 길이는 20~25cm가 적당하다고. 바늘도 평소 쓰던 호수보다 한 단계 정도 낮춰쓴다고.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오산 낚시인 박선환씨에 따르면 단순히 도랑 수준으로 졸졸졸 흐르는 새물유입구는 오히려 독이 될 뿐으로 수량이 적은 만큼 수온 안정에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잡어들만 꼬인다고. 대표적인 잡어가 피라미, 모래무지, 동사리, 갈겨니, 버들치 등으로 실제로 새우망을 던졌을 때 참붕어가 가장 많이 채집되는 곳도 바로 새물유입구라고. 저수지 규모에 따라 적정 유입량에 차이가 있지만 최소한 저수지 전체가 흙탕물로 변할 정도로 많은 유입수가 들어오는 시점이 최고의 적기로 볼 수 있는데 이때는 물색 관계없이 입질을 받을 수 있으며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제방이나 하류권의 깊은 곳에 포인트를 잡는 것이 안정적이라고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군계일학 성제현 데표에 따르면 배수기 때 노려볼만한 곳 중 하나가 바로 간척호로 간척호라고 해서 배수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웬만한 저수지보다는 규모가 크고 수량이 많기 때문에 영향은 적은 편이라고. 아울러 간척호는 수심 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약간만 수위가 줄면 붕어가 깊은 곳으로 대거 모여드는 습성을 보이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그 간척호에서 가장 깊은 곳을 찾는 것인데, 현지 낚시인들로부터 조언을 듣는다면 과정이 수월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약간의 수고가 필요하다.

성 제현대표는 배수기 때 중부권에서 쉽게 찾아갈 수 있는 부남호(천수만B지구) 3개의 제방 중 가운데 있는 2번 제방을 좋아한다고 하는데 이곳이 수심이 가장 깊기 때문인데 주로 찾는 동쪽 구간은 초입에서 약 300m 지점에서 상류를 보고 낚시한다. 그러나 이곳이 처음이라 포인트를 모른다면 4칸 대 정도의 낚싯대를 하나 꺼내어 곳곳에 찌를 세워가며 깊은 수심을 찾으면 된다고.

한편, 갈수기라도 너무 깊은 곳보다는 약간 수심이 얕아지는 수중턱이 더 좋은 포인트라는 말도 있지만 지형이 복잡한 계곡지와 달리 간척호는 그런 턱이 거의 없는 편이다(있다면 그곳을 노리는 게 좋을 것이다).

따라서 주변보다 깊은 곳만 찾으면 첫 번째 과제는 해결된 셈이다. 그 다음 과정은 좀 더 세밀하게 깊은 수심을 찾는 것으로 이때는 좀 더 긴 5칸 대 정도를 꺼내 먼 곳과 가까운 곳을 고루 찔러본다. 일반적으로 저수지와 달리 간척호는 제방 앞이 가장 깊고, 멀어지면 점차 얕아지는 지형이 많아 무작정 장대를 펼 게 아니라 제방에서 가장 깊은 수심에 맞는 길이의 낚싯대를 펴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미끼는 글루텐을 추천한다. 부남호에서는 새우도 잘 먹히지만 배수기 때는 붕어들이 깊은 곳에 오글오글 모여 있기 때문에 집어력 강한 글루텐이 좋은 반응을 보인다고. 낚싯대도 다대편성보다는 3~5대만 펴 집중력을 높이는 것이 좋은 방법.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김천 해수조우회 백진수씨는 갈수기 때는 평지지보다 계곡지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데 작은 소류지보다는 중대형 계곡지일수록 유리하다고. 계곡지 중에서도 골이 많은 곳이 좋고 그중에서도 가장 깊은 골을 선택하는 게 좋은 방법이다. 낮아지는 수위로 경계심을 느낀 붕어들이 안정감을 찾고 몰려들기 때문.
계곡지는 수위가 줄고 있는 상황에서도 입질이 잘 오긴 하지만 아무래도 수위가 내려간 지 1주일 정도 된 시점에 찾는 것이 매우 유리해 해당 낚시터가 있는 지역 낚시인들에게 수위변동이 안정된 시기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계곡지라도 수초가 많은 곳을 찾는 것도 도움이 되는데 완전 갈수보다는 초반 배수 때 염두에 두면 좋다고.

낚시 시간대도 중요한데 배수기, 갈수기에도 붕어는 먹이활동 하지만 그 시간이 매우 짧다고. 일반적인 입질 시간대인 초저녁과 새벽이 피크인 만큼 이때는 집중하고 낚시할 필요가 있으며 배수기 때는 낮 입질은 거의 기대하기 힘들다고.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