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수원좌대
- 9월 붕어낚시
- 붕어터
- 바다낚시
- Fishing
- 죽산지
- 조행기
- 8월 붕어낚시
- 월척
- 아산 저수지
- 조황정보
- 낚시웹진
- 붕어낚시
- 죽산낚시터
- 아산 붕어낚시
- 10월 붕어낚시
- 송전지 수원좌대
- 아산 낚시터
- 아산 조황
- 4월 붕어낚시
- 수상좌대
- 용인낚시터
- 낚시
- 5월 붕어낚시
- 송전낚시터
- 송전지
- 수원집
- 낚시터
- 토종붕어
- 조황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수초 (1)
낚시이야기

대형댐은 수생식물이 생육이 될 정도로 수위가 안정적이지 못하다. 즉 쉽게 말하자면 수생식물이 뿌리내리고 광합성을 할 안정적인 수위, 그리고 안정적인 기질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수생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것이다. 적당히 기질이 안정화될만하면 물을 빼버려 땅이 되고 적당한 수위로 생육하려면 과도한 수위상승으로 너무 깊게 물에 잠겨 죽어버리는 것이다. 소양호, 충주호, 대청호, 안동호와 같이 인위적으로 강줄기를 막아 생긴 거대한 담수호는 발전, 치수 등 다양한 이유로 물을 수시로 방류하거나 채우기 때문에 수위가 매우 불안정하다. 대형댐에서 수생식물이 자라지 않는 이유는 바로 이것이며 이러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물고기는 다른 강계나 저수지보다 산란, 은신 등이 불리하기에 대부분 장마철 댐 주변 나머지 지역에서 자..
조황정보
2023. 6. 4. 1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