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물 흐름이 있을 때는 물이 흘러오는 상류 쪽에 짧은 대를 배치하고, 하류 쪽에 긴 대를 배치합니다. 그래야 낚시 간에 채비 엉킴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 물 흐름을 탄 원줄이 하류 쪽으로 반달 모양으로 휘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때 상류 쪽에 긴 대가 있게 되면 채비 투척 시나 챔질 시에 원줄 엉킴이 자주 발생하는데 물이 흐르는 하류 쪽을 바라보고 대편성을 할 때는 긴 대를 멀리(낚시인 자리에서), 짧은 대를 가까이에 배치합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우리가 찌놀림을 보고 쉽게 붕어가 아닐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잡어의 입질은 찌가 경박스럽게 오르거나 끌리는 현상으로 나타나서 그것을 알 수 있는데, 그렇지 않고 정말 붕어와 똑같이 찌를 올리거나 내리는 입질인데도 헛챔질이 자주 일어난다면 일단 작은 바늘에 작은 미끼로 교체 사용하여 예신 후에 찌 올리기를 오래 기다리지 말고 입질 초기에 살짝 가벼운 동작으로 손목챔질을 해보면 무엇인가가 걸려 나올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찌 들림 현상이나 징거미 등 수중생물에 의한 찌 움직임이라고 판단이 되면 다른 미끼로 교환하여 대처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생미끼를 곡물 미끼로 교환하여 수중생물이 선호하여 덤비는 미끼를 회피하는 것입니다. 또한 징거미나 왕우렁이 등의 수중생물이 덤빌 때는 앞받침대 아래로 밑밥을 뿌려 유인하여 낚시미끼에 다가가지 않도록 대처하는 요령도 유용합니다.
다만 찌 들림 현상일 경우는 봉돌을 무겁게 하여도 대부분 그러한 현상이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므로 낚싯대를 살짝 흔들어서 찌와 채비의 공기방울을 털어주면서 입질을 기다려야 합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대물 붕어는 (그때그때의 수온이나 수압 변화에 따라서) 먹잇감이 주로 서식하는 수심대인 물 밑바닥에서 일정한 수심을 유지하는 등고선을 따라 활동을 합니다.
수심이 완만하고 얕은 곳은 등고선 간격이 넓으며 먹잇감 역시 폭넓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붕어의 취이활동 역시 먼 거리에서 주로 이루어지므로 긴 대를 편성합니다. 직벽이나 골자리처럼 수심이 깊은 포인트는 먹잇감이 서식하는 수심대의 등고선 폭이 좁습니다. 먹잇감이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는 얘기입니다. 연안 가장자리까지 사냥을 나오는 붕어를 겨냥하여 짧은 대를 편성합니다(질문하신 대편성과는 차이가 있지요?).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사진: 낚사춘추)



만약 어떤 특정 찌만이 부드럽게 올라오는데 계속해서 헛챔질이 되는 경우라면 아마 바닥에 징거미나 물방개가 있어서 이들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경우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겠습니다(미끼를 입으로 흡입하여 취하는 블루길 등의 어류라면 바늘에 걸려 나오겠지요).또한 수중에 경사가 있는 포인트에서 징거미나 바닥새우, 게아재비 등 수중생물들이 경사진 바닥 아래에서 위쪽으로 밀고 올라오면서 미끼를 뜯어먹는 현상이 찌에 그렇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옆으로 끌고 가거나 물속으로 끌려들어가는 입질 현상이 나타나는데 계속 헛챔질이 된다면 그것은 민물참개나 민물망둑 종류의 소행일 가능성이 크고, 계속해서 예신만 하는 것처럼 꼼지락거리면서 올리지도 내리지도 않는다면 왕우렁이나 치어급 참붕어 또는 납자루 등의 소행일 가능성이 큽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사진 : 낚시춘추)




채비 투척 후 한참 있다가 찌가 아주 느리게 올라오는 현상이 여러 대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서 그대로 정지하고 있다면 그것은 입질과 무관하게 찌가 스스로 상승하는 찌 들림 현상입니다.

이러한 찌 들림 현상은 다음의 두 가지 현상으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하나는 공기방울입니다. 하절기 고수온일 때 찌몸통과 수중 채비에 공기방울이 맺혀 찌가 부상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첨부하는 수중의 찌 참고사진을 보면 우리가 상상하는 이상으로 공기방울이 많이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이 찌가 떠오르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 낚싯대를 들어서 살짝 흔들어 공기방울을 털어주면 찌가 다시 제 위치로 내려갑니다.

또 하나는 수온변화와 부력관계입니다. 수온 변화와 부력 관계란 상층부의 물 온도가 높으면 물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밀도가 낮아지고 따라서 부력이 감소하며, 물의 온도가 내려가면 물의 부피가 감소하고 밀도가 높아지면서 부력이 증가하는 현상이라 설명할 수 있습니다.

표층수온이 고도로 높을 때 수직대류(더운물과 찬물이 상하로 순환되는 대류현상)가 정지하고 물의 밀도가 낮아지는 물의 성층현상(成層現象, 대기 중에도 성층권이 있는 것처럼 큰 수온차로 인하여 상하로 물이 섞이지 않고 수온대별 띠를 형성하여 정지되는 현상)이 형성되는데, 이때는 찌가 가라앉는 모습을 보입니다(이때는 찌맞춤이 무겁다고 느낌). 반대로 수직대류가 활발해져서 표층수온이 하강하는 시간대가 되면 물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찌의 부력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때부터 찌가 스스로 떠오르는 현상을 보이게 되지요. 그러다가 표층수온이 안정되게 되면 그러한 현상이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사용하는 찌가 공작찌나 갈대찌 등 내부에 공기층을 갖는 찌는 고수온에 따른 내부공기팽창으로 인하여 부력에 변화가 생겨서 노지에서든 양어장에서든 간혹 스스로 찌가 올라서는 현상이 발생 할 수가 있습니다(반대로 동절기 저수온 때는 공기 수축으로 인하여 찌가 가라앉게 되어 찌맞춤이 무겁다고 느끼게 되지요).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비가 오기 전의 잔뜩 흐린 저기압대에서는 대부분의 붕어가 수면 가까이에 떠오르거나 은신처에 머물면서 평균 이하의 활동을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저기압의 영향으로 미세하나마 용존산소가 줄고 부레가 팽창하며 옆줄에 의한 수압의 변화를 느끼기 때문인데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입질을 잘 할 것 같은 분위기인데 입질이 뜸한 경우로 여기에 찬바람이라도 몰아치면 입질이 뚝 끊기는 현상이 생깁니다.
비가 오고 있을 때는 수온에 따라 다른 현상을 보이는데 한여름에 낮 동안 일조량이 많아서 표층수온이 25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되어있을 경우에는 강한 비가 수면을 때려 표층수의 신선도가 높아지면, 붕어들이 일순간 신선한 물과 산소를 공급받으려고 떠오르게 됩니다. 그러므로 비로 인해 신선해진 표층수와 정체된 하층수 간의 물의 대류가 일어나 혼합되기 전에는 오히려 잠시 동안 입질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다가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면서 물이 불어나고 표층과 하층의 물이 대류를 통해서 혼합되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붕어도 활성을 갖게 되어 낚시하기에 좋은 여건이 됩니다. 특히 100mm 정도의 호우가 내릴 때면 폭발적인 오름수위 조황도 볼 수가 있고요.
비가 그친 후에는 황톳물이 심한 곳은 2~3일간 안정이 된 후에야 수중 생태계가 활발해지지요. 황토 입자가 붕어 아가미에 달라붙어서 호흡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황톳물이 지지 않는다면 곧바로 호황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렇듯 비는 기상조건에 따라서 붕어낚시에 호(好) 불호(不好)의 요소가 됩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사진 : 낚시춘추)


 

근본적으로 하늘에서 내리는 신선한 비는 많은 산소를 내포하고 있어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늘려주고, 수온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먹잇감이 되는 수서곤충 등 수중생물의 활성을 높여 이를 먹잇감으로 취하는 붕어의 활성도를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평가를 한다면 비는 붕어낚시에 유리하다고 평가해야 하겠으나 항상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계절에 따라 혹은 당일의 기상 조건에 따라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 비가 유리한 경우

늦봄부터 하절기를 지나 가을까지 저수지의 물이 기본적으로 온화한 수온을 유지할 때는 하늘에서 내려주는 비가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특히 표층 수온이 20~25도이고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는 때에는 비가 수면을 시원하게 해주고 대류를 통해 수중 깊은 곳까지 신선한 물과 산소를 다량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해주어 붕어의 활성도를 최대로 높입니다. 그리고 이때는 붕어뿐만 아니라 붕어의 먹잇감이 되는 수서곤충이나 수중 미생물도 활성을 갖게 되어 연안으로 많이 밀려 나오게 되므로 이를 먹이로 취하는 붕어는 활발하게 연안으로 나와서 먹이사냥을 하게 됩니다. 이때는 입질도 아주 활발하고 찌놀림도 좋습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비가 불리하게 작용하는 경우는 수온이 낮은 늦가을부터 겨울을 지나 초봄까지입니다. 이 시기에는 기본 수온이 낮은 상태에서 찬비가 내리게 되면 수온을 급격히 떨어뜨려서 붕어를 움츠리게 하지요. 따라서 이때의 비는 몰황을 가져오기 일쑤고, 간혹 입질을 하더라도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여 찌놀림이 아주 작고 민감한 입질로 끝나고 마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긴 찌를 쓴 날과 짧은 찌를 쓴 날의 붕어 활성도 차이로 인해 그러한 입질 현상이 나타났었을 것 입니다. 이러한 찌올림 차이 현상은 같은 장소에서도 오전과 오후 혹은 낮과 밤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동일한 조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찌올림 차이의 가장 큰 요인은 찌톱의 굵기에 따른 체적과 표면장력 영향입니다. 
잘 관찰을 해보면 긴 찌는 짧은 찌보다 찌톱이 가늘게 제작이 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찌 전체의 균형(balance)을 위해서 긴 찌톱을 쓰려면 그만큼 가늘게 쓰는 것이지요. 따라서 찌톱이 가늘고 긴 찌는 수면 위로 찌가 솟을 때 체적과 표면장력이 미치는 영향이 작아서 무게부담을 적게 주게 되므로 굵고 짧은 찌톱보다 이물감을 덜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연스럽게 솟아오르면서 조금 더 차분하게 입질을 해주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지요. 그러나 그것도 붕어가 아주 민감한 입질을 하는 경우가 아니면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즉 평상시의 활성도가 높을 때의 붕어는 짧은 찌도 올릴 만큼 다 올린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긴 찌가 찌맛이 좋다는 것은 무슨 말일까요?
그것은 붕어가 활발한 입질을 해줄 때 찌톱이 길어야 높이 올리는 찌맛을 끝까지 충분히 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찌톱이 짧으면 찌몸통이 수면에 도달하는 순간부터는 더 올릴 수가 없거든요. 그러면 붕어는 봉돌의 무게감에 의해 미끼를 뱉어 버리고요.
긴 찌가 찌맛이 좋다고 하는 것은 결국 찌톱의 굵기가 가늘고 길기 때문에 한껏 찌맛을 즐길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긴 찌와 짧은 찌를 똑같이 굵은 찌톱 소재로 제작하여 똑같이 찌맞춤을 한다면 긴 찌와 짧은 찌의 수면 위로 보이는 찌올림 차이는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붕어가 하는 만큼입니다. 즉 붕어가 많이 올리면 찌가 많이 오르고 붕어가 적게 올리면 찌도 적게 올라오는 것이지요. 천하의 어떤 찌도 붕어가 10cm만 들어 올리는데 20cm 올라올 수는 없고, 20cm 들어 올리는데 10cm만 올라올 경우는 없습니다. 만약에 붕어가 20cm를 들고 올라오는데 찌가 10cm만 솟는다면 올라오지 못한 10cm 만큼의 원줄이 느슨하게 늘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야 하겠지요. 하지만 찌의 부상력은 절대로 그런 일을 용납하지 않고 항상 원줄을 팽팽하게 당기고 떠있게 되고, 비중이 큰 봉돌은 밑에서 찌가 떠오르려는 것과는 반대의 힘으로 버티고 있는 모습이 되지요. 따라서 붕어가 얼마만큼 찌를 올리던 찌와 봉돌 사이의 원줄은 항상 느슨함이 없이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합니다.

붕어가 입질 시에 찌가 올라오는 것은 붕어가 미끼를 흡입하는 순간에 바닥에서 버티는 봉돌과 수면에서 당기는 찌 간에 힘의 균형이 깨지면서 시작이 되고, 이후로는 붕어가 들고 오르는 동작대로 솟아오르다가 붕어가 어느 시점에서 미끼를 뱉어내면 관성에 의해서 그 상태로 잠시 멈칫한 후에 내려가게 됩니다.
다만 붕어의 입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소가 있어서 붕어가 물고 있는 미끼를 빨리 혹은 늦게 뱉어내는 경우로 인해 소위 ‘붕어가 하는 만큼’이라고 말하는 정도의 찌올림 폭이 달라질 수는 있습니다. 즉 붕어가 동작을 하는 만큼 적게 오르거나 많이 오르거나의 차이가 나는 것이지요. 그러나 찌톱의 길고 짧음이 찌올림의 높이를 결정하는 결정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300x250



채비 후에는 찌맞춤을 정밀하게 잘 해야 하는데, 원줄의 비중까지 고려한 찌맞춤을 하되 최종적으로는 보조봉돌만 살포시 바닥에 안착하는 현장찌맞춤을 해야 합니다. 그러려면 수조찌맞춤시에 원줄까지 완전한 채비를 해가지고 1차적으로는 원봉돌만 달고 찌톱이 몸통 연결 부분까지 드러나서 멈추도록 맞춘 다음, 2차적으로 원봉돌 아래에 적절한 부력의 보조봉돌을 달아서 찌톱 끝이 수면에 닿아 멈추는 표준찌맞춤이 되도록 맞춥니다. 즉 보조봉돌을 다시 떼어내면 찌톱이 끝까지 솟아오르는 상태로 맞추는 것입니다.

수조에서 이렇게 맞추더라도 현장에서는 여건에 따라 변화가 있으므로 낚싯대 편성 시에 정밀한 찌맞춤을 다시 해야 합니다. 이때 요령은 찌가 서는 지점의 수심을 먼저 측정한 후에 찌를 내려서 채비를 투척하여, 찌 입수 모습을 관찰하면서 찌가 뜨거나 잠기는 모습을 보고 원봉돌에 오링을 가감하면서 수면과 찌 끝이 일치하는 찌맞춤을 합니다. 그리고 실제 낚시를 할 때는 다시 찌를 올려서 찌톱의 케미고무 하단이 노출되는 정도로 높이를 맞추면 보조봉돌이 바닥에 살포시 닿는 채비 정렬 상태가 됩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