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낚시 이야기

강붕어 낚시는 산후 휴식기가 없다 본문

낚시이론/깅낚시

강붕어 낚시는 산후 휴식기가 없다

사계A 2024. 6. 14. 14:19


300x250
728x170


 


저수지는 산란일과 산란 직후엔 입질 없다

어느 봄날 저수지에 도착해보니 낮시각임에도 붕어들의 산란 몸부림이 대단히 심하다면 그날은 본격 산란일일 확률이 아주 높다. 산란 중인 붕어는 먹는 것에 관심이 없다. 그러므로 경험이 많은 낚시인이라면 자동차를 돌려서 다른 저수지로 갈 것이다. 그런데 붕어의 몸부림이 대단히 활발한 것을 호재로 생각하고 대를 펼치고 낚시를 해보면 밤새도록 입질 한번 못 볼 확률이 아주 높다.
바로 본격 산란일에 저수지를 찾으면, 밤이 되면 붕어가 받침대 밑에까지 들어와서 요란하게 몸을 뒤집고 낚시를 하는 중에 사람에게까지 물이 튀기도 하는데 이날은 입질 확률이 거의 제로가 된다.
본격 산란을 마친 후 3~5일의 휴식기에도 입질 확률은 아주 낮다. 어쩌다가 입질을 받아서 붕어를 낚는 경우도 있지만 산란으로 인해 비늘이 빠져 있고 보기에 안쓰러울 정도로 몸이 상해있는 경우가 많다. 휴식기를 지나고 다시 취이활동을 하는 붕어의 몸에도 산란의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모양이 확인된다. 휴식기를 마친 붕어 즉 산란의 상처가 아물고 있는 상태의 붕어가 낚이기 시작하면 그 수면은 배수가 시작될 때까지 봄호황이 꾸준히 이어지게 된다.
붕어의 산란 일정에 따른 이러한 취이활동의 변화는 낚시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그날 낚인 붕어가 만삭이고 산란 직전이라면 그 수면의 다음 출조 시기는 휴식기를 지난 뒤로 잡아야 한다. 만삭 붕어를 마릿수로 낚는 호황을 맛보았다면 붕어는 곧 산란-휴식기를 거치게 되니까 휴식기를 지나고 다시 취이활동을 시작할 무렵에 출조를 해야 한다. 그래서 봄시즌에는 붕어를 낚으면 붕어의 몸을 살펴서 산란 일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에는 산란 전, 중, 후의 붕어가 혼재한다

그러나 강계 포인트의 경우 붕어의 산란에 따른 휴식기가 거의 없다. 이것 또한 우리의 낚시를 통해 확인한 내용인데 산란기에 같은 강계 포인트를 반복출조해보면 만삭 붕어와 지금도 알을 채우는 중인 붕어 그리고 이미 산란 후 취이활동을 하는 붕어 등이 같은 날 낚이는 경우가 왕왕 있다. 결국 강계 포인트의 경우 그 수면의 대부분 붕어가 거의 동시에 산란을 하는 2차 본격 산란이 없다는 뜻이며 산란 전 상태, 산란 진행 중인 상태, 이미 산란을 마치고 회복까지 끝낸 상태의 붕어들이 동시에 혼재하는 경우들을 보면서 강계 포인트에는 휴식기가 없다는 판단을 하는 것이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강계의 경우 워낙 어자원이 많고 이동이 활발하기 때문이 아닐까 짐작해보는데, 어쨌거나 강계 포인트에 휴식기가 없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따라서 강계 포인트를 공략할 때는 휴식기를 염두에 두지 않고 출조 계획을 잡아도 무방하겠다.  


참붕어 산란 때 대호황 난다

낚시를 하다 보면 연안 수초대 쪽으로 참붕어가 몰려들어서 물파장을 일으키는 것을 볼 때가 있다. 참붕어가 산란을 하는 것인데 이때 씨알급 붕어를 마릿수로 낚을 때가 있다. 참붕어가 산란하면 그 알을 주워 먹으러 붕어들이 연안 수초대로 바짝 올라붙기 때문에 이때는 대호황이 날 확률이 대단히 높다. 낮에 조금 덥다는 느낌이 날 정도로 봄기운이 완연할 때 출조를 해서 수면을 살펴보다가 참붕어 떼가 연안 수초대로 몰려들어서 물파장을 일으킨다면 그날은 대호황 확률이 높은 날이므로 목표치를 높이 잡고 공략해야 한다.

▶강붕어의 상처는 전염병?

봄에 강에서 붕어를 낚아보면 가끔은 붕어의 몸에 상처 자국이 있고 그곳이 짓무르거나 곰팡이 모양을 한 2차 병의 흔적을 볼 때가 있다. 심각하게 오염된 수질 때문에 붕어가 병에 걸린 것처럼 오해할 수가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으며 이런 흔적은 상당히 청정한 강계에서도 발견될 때가 있다. 김진태씨는 이런 상처를 처음 발견했을 때는 대단히 놀랐는데 낚시경험을 통한 유추로 원인을 알게 되었다. 바로 붕어가 산란 때 몸을 비빌 수초가 없는 강에서는 돌이나 바위에 몸을 비비면서 생긴 상처이며 때마침 큰 비가 와서 흙탕물이 지면 일시적으로 상처가 바로 아물지 못하고 이런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과학적인 근거는 없지만 오래전부터 낚시를 하면서 비슷한 경우를 몇 차례 겪으면서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기 때문에 김진태씨는 ‘산란 상처와 흙탕물’이 원인이라고 믿고 있다.

300x250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