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11월 붕어낚시
- 충주호 조황
- 월척
- 대물터
- 조황정보
- 댐낚시
- 낚시웹진
- 10월 붕어낚시
- 대물낚시
- 붕어터
- 아산 조황
- 9월 붕어낚시
- 5월 붕어낚시
- 토종붕어
- 바다낚시
- 충주 조황
- 죽산지
- 붕어낚시
- 4월 붕어낚시
- 포천 낚시터
- 아산 붕어낚시
- 안성 낚시터
- 아산 낚시터
- 송전지
- 아산 저수지
- 죽산낚시터
- 8월 붕어낚시
- 수상좌대
- 조황
- 안성 조황
- Today
- Total
목록낚시이론/일반 (221)
낚시 이야기
평산 송귀섭씨에 의하면 찌 올림의 높낮이는 붕어가 할 나름으로 붕어 활성이 활발해 찌를 한없이 올리는데 떠오르지 않을 찌는 없고 아무리 긴 찌라도 붕어가 한 마디밖에 올리지 않는데 한 뼘 이상 올라올 수는 없다고. 그러므로 붕어의 활성도가 아주 높은 상태에서는 찌 올림 폭이 크고, 활성도가 떨어질 때는 찌 올림 폭이 작아지는 것으로 이러한 붕어의 수중 입질 모습을 정직하게 우리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찌가 좋은 찌라고. 그런데도 찌에 따라서는 찌 올림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원인은 찌의 전체적인 외형적 균형 감각과 입질 시 상승 하는 동안의 중심유지 기능 차이 때문. 비록 짧은 찌라 하더라도 그 균형과 중심 유지가 잘 되면 찌 올림이 많이 나타날 것이고, 아무리 긴 찌라고 해도 균형과 중심 ..
평산 송쉬섭씨에 의하면 찌몸통과 찌다리, 찌톱의 길이 비율은 일정한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고, 찌몸통 형태와 부력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찌톱이나 찌다리의 길이를 정해놓고 결합하는 것이 아니고, 결합과정에서 찌의 용도 그리고 찌몸통(부력통)의 크기에 따라서 제작할 찌 길이를 염두에 두고, 부력통의 중심에 따라 전체 찌의 중심점을 찾아가면서 찌톱과 찌다리 길이를 달리한다는 것. 그러므로 몸통 형태에 따라서는 찌다리가 찌톱 길이에 비해 아주 짧은 모양을 가질 수도 있고 찌톱 길이의 절반 정도가 되는 경우도 있게 되는 것으로 바로 이러한 길이 비율은 찌 전체의 중심점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지요. 이때 참고할 것은 찌 전체의 길이는 찌몸통의 부력 능력과 균형이 맞아야 합니다. 이러한 찌의 부력과 균형적인 찌 전체..
평산 송귀섭씨의 경우는 노지에서 전통붕어낚시(봉돌이 바닥에 닿아 있게 하고 입질 시에는 찌를 올리는 낚시)를 할 때는 수조에서 찌 끝이 수면과 일치하는 표준찌맞춤을 하여 어디에서든 추가적인 현장찌맞춤을 따로 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대물낚시나 떡밥콩알낚시를 할 때에도 동일하다고. 수조에서 표준찌맞춤을 한 상태의 찌는 당연히 현장에 가서 원줄과 바늘을 달고 던져보면 아주 서서히 가라앉는 약간 무거운 모습이 되지만 이 상태로 수심에 맞게 찌 높이만을 조절하여(추가적인 현장 찌맞춤이 없이도) 미끼를 달고 낚시를 하면 된다고. 바로 이렇게 낚시를 구사해도 붕어가 입질하면 예신과 본신이 찌에 나타나가 때문에 그대로 그냥 사용해도 무방하가고. 다만 조금이라도 봉돌을 띄우는 채비의 낚시를 구사하고자 한다면..
평산 송귀섭씨에의하면 ‘바늘을 갈면 찌맞춤을 다시 해야만 하는가?’ 하는 문제는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습니다’입니다. 봉돌은 물론 바늘까지 띄우는 중층낚시 개념이나 봉돌이 뜨고 목줄의 슬로프 상태를 유지하는 내림낚시 개념이라면 당연히 다시 맞추어야 하지만 바늘이 바닥에 닿는 바닥낚시 개념이라면 다시 맞출 필요가 없습니다. 바늘이 조금 무겁더라도 어차피 바늘은 애초의 찌맞춤 때와 같이 바닥에 닿아있게 되고, 봉돌은 목줄 높이만큼 떠 있는 동일한 채비정렬이 되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바늘 크기에 따른 무게 변화가 붕어가 입질할 때 찌올림에 주는 영향 또한 무시해도 됩니다. 물을 들고 가면 무게로 느끼는데 마시고 가면 무게를 못 느끼지요? 같은 이치로 바늘이 한 호수 크다고 하더라도 이미 붕어가 흡입하여..
평산 송귀섭씨에 의하면 봉돌이 바닥에 닿는 모습이 아니고 바늘만 바닥에 살포시 닿고 봉돌은 떠 있는 모습의 찌맞춤은 가벼운찌맞춤입니다. 이와는 다르게 봉돌이 바닥에 닿아 안착하는 모습의 찌맞춤은 비록 예민하게 맞춘다고 하더라도 다 표준찌맞춤의 범주에 속하는 찌맞춤이지요. 이렇게 봉돌이 바닥에서 뜨는 가벼운찌맞춤은 채비를 다 조합해서 수조에서 찌톱 한 마디가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맞추면 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원줄채비를 해서 맞추는 것입니다. 이렇게 맞추고 나면 수조통에서는 실제 낚시할 때처럼 찌톱을 한 마디 노출하고 수심을 맞추면 바늘만 바닥에 닿고 봉돌은 떠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러나 수조에서는 그렇더라도 낚시터 현장에서는 수온 변화와 수심 등 낚시터 환경에 따라서 채비정렬에 변화가 생기므로 봉..
평산 송귀섭선생에 따르면 다음으로 낚싯대 길이에 따른 찌 선택은 대물낚시에 사용하는 고부력 찌라면 낚싯대 길이와 무관하게 짧은 찌를 사용하면 되고(10대를 같은 길이, 같은 부력의 찌를 채비해도 됨), 콩알낚시에 사용하는 찌는 낚싯대 길이에 따라서 점차 길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낚싯대 길이에 따라서 수심의 편차가 있고, 또한 점차 길이와 부력 정도가 차이가 있게 사용하는 것이 채비를 투척하는 데도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낚싯대 길이와 찌 봉돌의 부력은 비례하여 채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3.0칸 이내의 짧은 대에는 저부력의 짧은 찌를, 4.0칸 전후의 중간 대에는 중부력의 중간 길이 찌를 그리고 5.0칸 이상의 긴 대에는 고부력의 긴 찌를 채비하는게 유리하다고. 그리고 송귀섭씨의 경우는 대물낚..